Current Issue

Journal of Hydrogen and New Energy - Vol. 35 , No. 1

[ Articl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Vol. 33, No. 3, pp. 232-239
Abbreviation: KHNES
ISSN: 1738-7264 (Print) 2288-740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03 May 2022 Revised 12 Jun 2022 Accepted 15 Jun 2022
DOI: https://doi.org/10.7316/KHNES.2022.33.3.232

수소충전소 성능평가 장비 안전성 평가 연구
강승규1, ; 이동훈2
1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안전연구원
2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Risk Assessment fo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SEUNGKYU KANG1, ; DONGHOON LEE2
1Institute of Gas Safety R&D,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1390 Wonjung-ro, Maengdong-myeon, Eumseong 27738, Korea
2Energy Safety Empirical Research Center,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1467-51 Songhakjucheon-ro, Jucheon-myeon, Yeongwol 26203, Korea
Correspondence to : skkang@kgs.or.kr


2022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All rights reserved.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equipment for evaluating the protocol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s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safety. Hazard and operability study was performed for qualitative risk assessment, and Hy-KoRAM was used for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hrough a qualitative risk assessment, additional ventilation devices were installed, simultaneous venting of the storage container was prohibited, and the number of repeated refilling of the evaluation equipment was identified to manage the number of fillings of the container. Through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he area around the device was set as a restricted area when evaluating the station, and measures were suggested to reduce the frequency of accidents.


Keywords: hydrogen fueling protocol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risk analysis, leak frequency, consequence, Hy-KoRAM
키워드: 충전프로토콜 평가 장비, 위험성 평가, 누출사고 발생빈도, 사고피해영향, 위험성 평가 프로그램

1. 서 론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따라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21년 12월 기준으로 전국에 114기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되어 운영 중이다. 70 MPa의 수소전기차가 일반화되면서 고압의 수소 충전이 요구되고 있다. 고압 수소 충전은 액상 연료 대비 높은 기술 수준을 요구하며, 정량의 고압 수소를 안전하고 빠르게 충전하기 위해 충전프로토콜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주유의 경우 약간의 펌프 압력 및 낙차로도 탱크가 채워지지만 고압가스 충전의 경우 압력 차이로 충전하게 되며 주유의 경우에는 유량 센서 하나만 계측하는 단순한 방법이나 고압 수소 충전은 온도, 압력을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받고 충전기에서도 온도, 압력, 유량을 계측하는 방식으로 충전하게 되어 계측 요소가 많아 제어 자체가 복잡하다. 고압 수소 충전프로토콜을 만족하지 않으면 충전 시간이 지연될 수 있으며 완전 충전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압력 또는 온도의 과다 상승으로 차량 용기 파손 및 큰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다.

일본,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소자동차 충전소에 대한 안전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소 충전 표준 프로토콜(SAE J2601)1)에 맞추어 수소 충전시스템에 대한 성능 평가를 하고 있으나, 국내는 자체 기술로 개발된 수소 충전시스템에 대한 성능 평가 기준 및 장비가 없는 상황이다.

국내 수소충전소는 충전시스템에 대한 성능 기준이 부재하여 충전소마다 다른 충전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국내 수소충전소에 대한 충전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성능 평가 장비를 개발하고 관련 기준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충전프로토콜 평가 장비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고 운용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대책을 마련하고 제도가 안전하게 정착되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2. 충전소 성능 평가 장비의 구성

평가 장비의 구성요소는 Table 1과 같다. 수소저장용기는 수소전기차에 장착되는 같은 모델을 2세트 구성하였다. 충전과 방출을 효과적으로 진행하며 평가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 조치이며, 향후 버스와 같은 상용차 충전소에 대한 평가를 대비하여 6 kg 용기 1세트를 추가하였다. 용기 밸브에는 자동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 화재 발생 시 가스 방출을 위한 열 감응식 압력 방출 장치(thermal pressure relief device, TPRD),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를 설치하였다. 평가 장비의 저장용기에 수소 충전을 위한 리셉터클이 설치되었고 저장용기 및 배관 라인에 과압이 형성되면 압력 방출을 위한 안전밸브가 설치되었다. 평가 장비 운용 중 가스누출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시스템을 중단하기 위한 긴급차단밸브(shutdown valve)가 설치되었고 불순물 제거를 위한 필터와 충전량 측정을 위한 유량계가 설치되었다. 안전밸브 및 긴급차단밸브 작동 등에 따라 수소를 외부 방출할 때 별도의 벤트스택을 통해 안전한 지역으로 가스를 방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평가 장비 내부의 가스누출 및 화재를 감시하기 위한 수소가스 검지기와 수소 화염 검지기를 설치하였다.평가 장비가 밀폐되었을 때 수소가스 누출에 대비하여 환기팬을 설치하였다.

Table 1. 
Composition of hydrogen refueling protocol evaluation equipment
Components Specification Gas Pressure
Hydrogen
refueling
protocol
evaluation
equipment
Container 1 1.8 kg*3ea H2 70 MPa
Container 2 1.8 kg*3ea 70 MPa
Container 3 6 kg*2ea 70 MPa
Cylinder valve TPRD 1/4” 70 MPa
Solenoid valve
Check valve
Receptacle 1/4” 87.5 MPa
Safety release valve 1/4” 88 MPa
Shutdown valve 1/4” 87.5 MPa
Filter 1/4” 87.5 MPa
Flowmeter 1/4” 87.5 MPa
Vent stack 1/2” 87.5 MPa
Gas detector 2ea - 87.5 MPa
Flame detector - - -
Ventilation fan 2ea (220 v, 50 w) - -


3. 정성적 위험성 평가

평가 장비의 설계 단계에서 위험요인 분석 및 안전대책의 적정성을 분석하기 위해 정성적 위험성 평가 방법의 하나인 hazard and operability (HAZOP)를 진행하였다. HAZOP은 설계 의도에서 벗어나는 이탈 현상을 찾아내어 공정의 위험 요소와 운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분야의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 팀을 이루어 해결책을 강구하는 방법으로 정성적인 위험성 평가의 대표적 수행 방법이다. HAZOP 수행을 위한 P&ID를 Fig. 1에 나타내었으며, 검토 구간을 3개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번 구간(NODE NO. 001)은 충전구에서 저장용기 1번 세트(Container 1)에 충전하고 방출하는 공정이며, 2번 구간은 저장용기 2번 세트(Container 2)에 충전하고 방출하는 공정 그리고 3번 구간은 저장용기 3번 세트(Container 3)에 충전하고 방출하는 공정으로 구분하였다. Table 2에 HAZOP 검토 구간을 설명하였고, Fig. 1에 각각의 구간을 표시하였다.


Fig. 1. 
P&ID of hydrogen refueling protocol evaluation equipment

Table 2. 
Definition of HAZOP review section for evaluation equipment
NODE NO. Review section Description of review section
001 Receptacle to Container 1 SYSTEM FLOW DIAGRAM FOR CONTAINER 1 FILLING
CONTAINER 1 VENT
002 Receptacle to Container 2 SYSTEM FLOW DIAGRAM FOR CONTAINER 2 FILLING
CONTAINER 2 VENT
003 Receptacle to Container 3 SYSTEM FLOW DIAGRAM FOR CONTAINER 3 FILLING
CONTAINER 3 VENT

본 평가 장비에 대한 HAZOP 분석을 통해 84개의 이탈 원인을 도출하였다. 조치 전 고위험등급에 해당하는 3개의 주요 항목과 단순 개선 의견 26개를 포함하여 29개의 개선 권고사항을 도출하여 설계에 반영하였다. 반드시 개선이 필요한 3개의 항목은 다음과 같다. 평가 장비가 밀폐된 상태에서 운영될 시 내부의 누출 가스를 환기하기 위해 평가 장비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도록 하였고, 저장용기 1번과 2번 세트의 동시 벤트 시 벤트 용량의 추가 검토 및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 설치 등이 필요함에 따라 동시 벤트를 금지하고 이를 운전절차서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평가 장비는 반복되는 이충전으로 저장용기의 충전 횟수를 파악하여 용기의 내구성을 판단해야 하므로 PLC에서 용기의 충전 횟수를 관리하도록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HAZOP을 통한 위험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위한 중대 재해사고 시나리오를 Table 3과 같이 도출하였다.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평가 장비로부터 수소가스가 누출되고 화재 및 폭발이 발생하는 상황을 사고시나리오로 선정하였다.

Table 3. 
Severe accident scenario through accident cause analysis
No. Cause of accident Accident result
1 Defective piping connections, damage to instruments, and valve leaks Fire/explosion caused by ignition source due to large leakage of hydrogen gas
2 Sudden movement of the inspection vehicle (branch loosening), detachment of the connecting part flange, and damage to piping when the inspection vehicle is parked and stopped Fire/explosion caused by ignition source due to large leakage of hydrogen gas
3 Poor fastening of receptacle Fire/explosion caused by ignition source due to large leakage of hydrogen gas
4 Dis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instruments and devices due to vehicle vibration Fire/explosion caused by ignition source due to large leakage of hydrogen gas
5 Partial leakage of flanges and joints Fire/explosion caused by ignition source due to large leakage of hydrogen gas
6 Crack/damage of piping and valve around dispenser, FLOWMETER damage Hydrogen leakage and fire/explosion, lowering of fueling efficiency
7 External leakage of charging connector, rupture of charging hose Hydrogen leakage and fire/explosion, lowering of fueling efficiency
8 External leakage due to O-ring shrinkage of SV Fire/explosion caused by ignition source due to large leakage of hydrogen gas
9 External leaks from PTs, valves, fittings, piping, etc. Hydrogen leakage and fire/explosion, lowering of fueling efficiency


4. 정량적 위험성 평가
4.1 정량평가를 위한 입력 조건

도출된 사고시나리오에 따라 각각의 누출사고에 대한 빈도 데이터 및 점화 확률을 조사하고 Hy-KoRAM2)을 이용하여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소충전소에 대한 위험성 평가를 위해 미국의 샌디아 국립연구소에서 개발한 수소충전소 설비의 사고빈도 데이터 및 누출량에 따른 점화 확률을 사용하였다3,4). Table 4는 누출부위별 누출 크기와 누출 빈도를 나타내었다. Table 5는 누출원으로부터 누출량에 따른 즉시 및 지연 점화 확률을 나타내었다. 즉시 점화는 제트화재를 유발하고, 지연 점화는 증기운 폭발을 유발하게 된다. 그리고 Table 6은 프로토콜 평가 장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위한 사업장 및 주변의 인구분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삼척의 수소충전소를 대상으로 하여 주변의 인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Table 4. 
Leak scenario and leak frequency data
Component Inventory Scenario Leak size (mm) Leak frequency (/year)
P. (Mpa) T. (℃) Mass (kg)
H2 vessels
(CHSS 1, 2)*2
87.5 15 5.4 kg Small leak 0.05 1.36E-06
Medium leak 0.52 7.80E-07
Large leak 5.16 4.18E-07
H2 vessels
(CHSS 3)
87.5 15 12 kg Small leak 0.05 6.80E-07
Medium leak 0.52 3.90E-07
Large leak 5.16 2.09E-07
Dispenser 87.5 -40 12 kg Small leak 0.05 1.79E-04
Medium leak 0.52 1.60E-04
Large leak 5.16 7.47E-05
Valves*24 87.5 -40 12 kg Small leak 0.05 2.39E-03
Medium leak 0.52 9.91E-04
Large leak 5.16 3.58E-04
Filters*2 87.5 -40 12 kg Small leak 0.05 2.88E-02
Medium leak 0.52 1.37E-02
Large leak 5.16 1.39E-02
Flowmeter 87.5 -40 12 kg Small leak 0.05 1.73E-04
Medium leak 0.52 1.84E-04
Large leak 5.16 1.11E-04

Table 5. 
Ignition probability by release rate
Release rate (kg/s) Immediate ignition Delayed ignition
<0.125 0.008 0.004
0.125-6.25 0.053 0.027
>6.25 0.230 0.120

Table 6. 
Population distribution
Sites Category Population
Hydrogen refueling station Operator 5
LPG filling station Operator 2
Convenience Public 3
Tire shop Public 3

4.2 피해 영향(consequence) 범위 해석

설비별 누출원에 의한 피해 범위를 산출하기 위해 누출원의 크기는 국제표준(IEC60079-10-1)5) 및 국내기준(KGS GC101)6)에서 제시하고 있는 2차 누출등급의 누출원 크기를 반영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고정부품에 해당하는 밀봉 재료의 경우 심각한 고장을 유발할 정도로 크기가 확대될 수 있는 누출에 대하여 누출원의 크기를 1.0 mm2로 제시하고 있고, 저속 구동부의 밀봉 재료의 경우 침식 등에 의해 누출 크기가 확대될 수 있는 누출에 대하여는 2.5 mm2의 누출 크기를 제시하고 있다. 고속 구동부에 대하여는 1-5 mm2를 제시하고 있다. 본 평가 장비는 저장용기, 필터, 유량계 등의 고정부에 대하여는 1.0 mm2를 적용하였고, 밸브 등의 저속 구동부는 2.5 mm2를 적용하였다. 고속 구동부의 경우 적용되는 해당 부품이 없어 적용하지 않았다.

Figs. 2-5에 누출에 따른 즉시 점화로 제트 화염 발생 시 피해 범위를 나타내었다. 누출로 인해 가스 운이 형성되고 지연 점화가 일어날 때 증기운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나 평가 장비는 개방된 공간에서 운영됨을 고려하여 증기운이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 피해 범위 산출에는 반영하지 않았고, 사고빈도와 피해 영향을 복합 적용하는 정량적 위험도 평가(quantitative risk assessment, QRA)에서는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Fig. 2. 
Jet flame from sealing elements on moving parts at low speed


Fig. 3. 
Radiant heat distribution from jet flame of sealing elements on moving parts at low speed


Fig. 4. 
Jet flame from sealing elements on fixed parts


Fig. 5. 
Radiant heat distribution from jet flame of sealing elements on fixed parts

Figs. 2, 3은 밸브 등을 포함하는 저속 구동부 누출에 대한 제트 화염 피해 범위를 나타낸다. 화염의 길이는 6 m까지 영향을 미치고, 20초 이내에 보호되지 않으면 사람에 피해를 미칠 수 있는 4.7 kw/m2의 복사열이 영향을 미치는 거리는 8.0 m로 예측되었다. Figs. 4, 5는 고정부 누출에 의한 피해 범위로 화염의 길이는 3.7 m이고, 복사열이 미치는 거리는 4.5 m로 예측되었다.

4.3 위험도(risk) 해석 결과

위험도(risk)는 사고 발생빈도(frequency)와 피해 영향 결과(consequence)의 조합으로 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위험도의 평가 기준을 개인적 위험도(individual risk)와 사회적 위험도(societal risk)로 평가하였다. 개인적 위험도는 위험시설로 인해 한 개인이 사상할 확률을 의미하며, 사회적 위험도는 시설물 주변의 인구에 대해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누적빈도로 나타낸다. 개인적 위험도와 사회적 위험도에 대한 허용기준은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운영하는 「도시가스 고압배관의 안전성평가 지침」7)에서 정하는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 지침에 따르면 개인적 위험도는 1.0×10-4/year~1.0×10-6/year를 조건부허용영역(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ALARP)으로 하여 그 이상은 허용 불가고 그 이하는 허용영역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 위험도는 빈도가 1.0×10-2/year~1.0×10-4/year 범위이고 사고로 인한 사망자 수(number of fatality)가 1,000-100,000명의 범위를 조건부 허용영역으로 하여 그 상단은 허용불가영역이고 그 이하는 허용영역으로 정하고 있다.

Fig. 6은 수소충전소 내에 평가 장비를 배치하고 Table 4의 사고시나리오에 따른 개인적 위험도 산출 결과이다. 개인적 위험도의 최고치는 1.0×10-4/year부터 나타나고 있으며, 그 이상의 값은 나타나지 않았다. Fig. 7은 사회적 위험도 산출 결과이며 위험 산출 결과는 조건부허용영역과 허용가능영역을 지나고 있다. 개인적 위험도 및 사회적 위험도 결과가 모두 조건부허용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조건부허용영역은 허용은 가능하나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여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 안전조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Fig. 6. 
The contours of individual risk


Fig. 7. 
Societal risk curve

평가 장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추가 안전대책으로는 평가 장비 누출사고 시 최대 피해 범위가 저속 구동부의 누출로 인한 화재 사고 시 복사열에 의한 피해 거리가 8.0 m로 평가되어 충전소 평가 시 장치 주변 8.0 m를 제한구역으로 설정하여 외부인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소 시설에서 발생하는 사고 대부분이 취급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므로 운전원의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운전 매뉴얼을 비치하고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교육 및 관리하여야 한다. 그리고 평가 장비는 이동하면서 충전소를 점검해야 하므로 이동 중 장비의 고장 및 연결부 풀림 등을 수시로 점검하도록 하여야 한다.


5. 결 론

본 연구는 수소충전소의 충전프로토콜을 평가하기 위한 장비에 대한 정성적,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수행하고 안전성 향상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였다.

정성적 위험성 평가를 통해 밀폐된 상태에서 평가 장비가 운용될 시 누출 가스를 환기하기 위한 환기장치를 평가 차량 내에 설치하도록 하였고, 저장용기 1번과 2번 세트의 동시 벤트를 금지하고 이를 운전절차서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평가 장비의 반복 이충전 횟수를 파악하여 용기의 충전 횟수를 관리하도록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통해 충전소 평가 시 장치 주변 8.0 m를 제한구역으로 설정하여 외부인 접근 차단함으로써 안전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고빈도를 줄이기 위해 운전원의 실수를 예방하기 위한 운전 매뉴얼을 비치하고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하며 이동 중 장비의 고장 및 연결부 풀림 등을 수시로 점검하도록 하였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수소충전소 성능 및 안전평가 기술 개발” 연구과제입니다(No.20192910100170).


References
1. SAE J2601, “Fueling protocols for light duty gaseous hydrogen surface vehicles”, SAE International, 2020. Retrieved from https://www.sae.org/standards/content/j2601_202005/.
2. H. Kim and S. Kang, “Analysis of damage range and impact of on-site hydrogen fueling station using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program (Hy-KoRAM)”, Trans Korean Hydrogen New Energy Soc, Vol. 31, No. 5, 2020, pp. 459-466.
3. J. L. Lachance, W. G. Houf, L. Pluer, and B. Middleton, “Analyses to support development of risk-informed separation distances for hydrogen codes and standards”, SANDIA REPORT, SAND2009-0874, 2009.
4. K. M. Groth, J. L. Lachance, and A. P. Harris, “Early-stag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o support development of codes and standard requirements for indoor fueling of hydrogen vehicles”, SAND2012-10150, 2012.
5. IEC60079-10-1, “Classification of arear – explosive gas atmospheres”,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2020. Retrieved from https://webstore.iec.ch/publication/63327.
6. KGS GC101, “Classification code for explosive hazardous area on gas facility”, Korea Gas Safey Corporation, 2018. Retrieved from https://cyber.kgs.or.kr/kgscode.codeSearch.view.ex.do?onEngYn=F&pubFldCd=&pubMid=&pubCd=GC101_180712&stDayY=2008&stDayM=01&etDayY=2020&etDayM=12.
7. Korea Gas Safey Corporation, “City gas high-pressure pipe safety evaluation guidelines”, 2019.